연말 연휴를 맞아 미국 가정에서 홈베이킹이 시작되며 11월 둘째주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약 1억 6,100만 파운드(약 7,300 kg)의 버터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스콘신주 낙농가 협회에 따르면, 크리스마스 연휴기간 동안 버터 판매량 증가는 매년 반복되고 있는 현상이기는 하나 코로나 19 이후 홈쿡과 홈베이킹에 따른 수요가 크게 늘면서 평년대비 판매량이 더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인의 연간 버터 소비량은 평균 5.6파운드(약 2.5kg)에 그쳤으나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해 소비량은 연간 6.3파운드(약2.8kg)까지 증가하며 이례적인 수치를 기록한데 이어 금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처:agweb.com, 11월 16일>
BMW 그룹이 에너지 재생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낙농가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최근 BMW 그룹은 캘리포니아주 친환경 연료회사와 함께 전기자동차(EV)에 사용할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지역 낙농가와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젖소의 트림과 방귀는 물론 분뇨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농가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수거한 후 혐기성 소화조를 통해 전력을 생산해 메탄가스 배출 저감은 물론 연간 17,000대 이상의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농가에게도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BMW 그룹은 향후 미국 전역목장에 더 많은 혐기성 소화조를 설치하고 전력 생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 driven.co.nz, 11월 10일자>
11일 충남 보령시 청소면 신송리 배추 농가에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디지털농업추진단은 '가을배추 디지털 농업 기술 현장 적용 평가회'를 열고 드론 방제와 비료주기 기술 등을 선보였다. 이번에 선보인 기술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보강한 뒤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사진=농촌진흥청>
필리핀에 유제품 소비촉진을 위한 자판기가 설치됐다. 지난 24일 필리핀 농림부 카라바오 센터(DA-PCC)는 농림자연자원연구 개발청(PCARRD) 및 센트럴 루존 주립대의 농업자원 연구개발 컨소시엄과 협력으로 자판기를 통해 카라바오 지역의 유제품 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에 이어 두 번째로 설치된 이 자판기를 통해 저온살균 우유부터 초콜릿 우유, 요구르트, 우유 디저트 등 다양한 제품을 24시간 제공하고 있다. 당국 관계자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대형마켓이 영업을 중단하는 등 유제품 소비 활성화에도 어려움을 겪고있는 가운데 유제품 자판기는 소비촉진을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활약할 뿐만 아니라 좀 더 광범위한 소비자들이 편리하고 쉽게 유제품을 접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pna.gov.ph, 10월 27일자>
26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에서 방목 중이던 한우들이 겨울나기를 위해 축사로 돌아오고 있다.<사진=농촌진흥청>
■도원국장 <승진> ▲김남석 강원도 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성명]대기업·축산물수입업자 위한 ‘군급식 종합대책’ 즉각 폐기하라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성명, 군장병 체력증진위해 국산 농축산물 공급방식 필요 정부는 지난 14일 ‘군급식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2025년부터 농축산물 군납조달체계의 경쟁입찰 전환과 2024년 흰우유 급식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지난 19일 ‘정부는 축산물수입업자·대기업을 위한 ‘군급식 개선 종합대책’을 즉각 폐기하라!’ 제하의 성명을 발표하고 군급식 종합대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아래는 축단협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축산물수입업자·대기업을 위한 ‘군급식 개선 종합대책’을 즉각 폐기하라!’ 現 정권의 축산 말살이 도를 넘었다. 정부는 지난 10.14일 농축산물 군납조달체계의 경쟁입찰 전환(2025년부터), 흰 우유 급식기준 폐지(2024년부터)를 골자로 하는 ‘군급식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국방부가 축산농가의 생존권은 말살하면서, 축산물수입업자·대기업을 위한 이권보호정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사실상 밝힌 것이다. 금번 대책의 도화선이 된 부실급식의 원인은 조리인력 부족과 급양관리시스템 문제에 있다. 그러나 국방부는 엉뚱하게도 저가 경쟁
<승진> ▲ 연구위원: 허정회 ▲ 책임전문원: 김상범, 맹문영
영국 셰필드대학교가 지역 낙농가와 함께 캠퍼스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우유병 감축에 나섰다. 최근 학교 측은 캠퍼스 내 위치한 카페에 공급되는 플라스틱 우유병 사용량을 줄이고자 인근 지역농가로부터 재사용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우유통으로 우유를 공급 받을 계획임을 밝혔다. 이에 먼저 유동인구가 많은 3개의 카페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했으며 , 연간 2만 7천개의 일회용 우유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시범 운영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캠퍼스 내 전체 카페로 확대해 연간 6만개의 우유병을 감축한다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캠퍼스로 우유를 운반하면서 발생하는 탄소 발자국도 65% 감축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대학교는 일회용 제품 사용 감축을 위해 금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20펜스(약 324원)를 추가로 부과하고 재사용 가능한 컵을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출처 : sheffield.ac.uk, 10월 4일 >
해조류 사료보충제가 젖소의 메탄가스 배출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가운데, 스웨덴에서는 해조류 사료보충제 생산 확대를 위한 대규모 공장이 설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조류의 일종인 바다고리풀을 활용해 만든 사료보충제를 젖소에게 하루 100g씩 급여할 경우 장내에서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는 특정 효소를 억제시키며 메탄가스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주요 원유생산국에서 이를 활용한 메탄가스 감축 연구가 한창이다. 이에 스웨덴의 한 스타트업은 해조류 사료보충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2022년을 목표로 세계 최대 규모의 공장을 설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공장은 인근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에너지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스웨덴은 물론 해외시장으로 판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 euronews.com, 9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