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서울대(김희발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돼지의 등지방 두께를 조절하는 3개의 유전자가 사람의 복부 비만도에도 공통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이는 향후 사람 비만 질환 연구에도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농촌진흥청은 2002년부터 돼지 집단 분…
농촌진흥청은 중산간지 휴경논에서 다년생 목초 이용기술을 개발해 한번 조성으로 여러 해 안정적으로 친환경 조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했다고 밝혔다. 중산간지 휴경논은 전체 지형이 경사지이기 때문에 배수가 양호해 생산성이 높고, 계단식 논이 대부분을 차지해 기계화 작업이 용이하여 논의…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초지 조성에 알맞은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톨 페스큐는 환경적응성이 우수해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이 무더운 기후에서 초지를 만들어 장기간 영속적으로 이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목초이다.그러나 톨 페스큐는 사료가치가 낮고 거칠어 가축이 먹기 싫…
돼지태반을 어미돼지의 사료로 활용할 경우 어미돼지의 유질이 개선돼 새끼돼지의 면역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양돈농가에서 새끼돼지를 생산한 후 버려지고 있는 태반을 가공·처리해 어미돼지 사료로 활용한 결과, 새끼돼지의 체중 증가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퇴비의 수분조절제로 사용되는 톱밥 중 유해물질이 들어 있어 사용이 금지된 폐목재 톱밥을 신속히 가려낼 수 있는 길이 열렸다.농촌진흥청은 톱밥에 들어있는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해 퇴비 원료로 사용 가능한 톱밥인지 아닌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이…
- 우리맛닭 종계 초생추의 모습. 농촌진흥청은 15년에 걸쳐 복원한 재래닭을 이용해 만든 ‘우리맛닭’의 분양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우리맛닭’은 1992년부터 15년간 품종 복원한 맛이 좋은 종자를 모본으로 알을 잘 낳는 종자와 성장이 빠른 토종닭 종자와의 교배로 경제성을 갖추었다. 또…
구제역 발생으로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져 폐기하는 원유를 사료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낙농가에서 원유를 냉각하지 않고 구연산 용액을 넣어 응고시켜 사료화할 경우 농후사료를 2~3kg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원유냉각기에 원유를 넣고 서서히 저어주면서…
축산농가에서도 신재생 에너지인 지열을 이용한 난방 시설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신재생 에너지인 지열을 이용한 축사를 난방하는 기술을 개발해 연료비는 줄이고 생산성은 좋아졌다고 밝힌바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지열난방시설을 설치하는 지원 사업을…
젖소 보증씨수소 3두가 선발돼 농가별 맞춤 젖소 정액 공급이 가능해졌다.농촌진흥청은 가축개량협의회 젖소분과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젖소 보증씨수소 3두, 유진(HK-170), 유철(HK-169), 유리(HK-174)를 선발했다고 밝혔다. 젖소 보증씨수소 선발은 농림수산식품부의 젖소 개량사업의 하나로 농협 젖…
농촌진흥청은 겨울철 사료작물로 수요가 많고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조사료용 청보리 품종 ‘조미’를 육성했다고 밝혔다.조사료 전용품종인 조미는 줄기에 잎귀가 없어 부드러우며 줄기수가 ㎡당 846개로 기존 청보리 품종인 영양보리(652개)에 비해 월등히 많고, 직립 초형으로 밀식적응성이 높아 품종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