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한우 송아지에게 설사병이 발생했을 때 치료에 도움이 되는 송아지 마스크의 농가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밝혔다. 한우 번식농가의 가장 큰 고충은 송아지 설사병으로 발병율이 90.3%로 매우 높고 평균 치료일수도 3~4.6일로 길어 농가가 치료에 애를 먹는다.하지만 농촌진흥청 한…
축산농가의 난방비 해결에 축산물부산물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축산부산물인 돈지와 우지를 이용해 값싼 바이오디젤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동물성 유지는 기름함유량이 매우 높고, 국내에서 대량으로 원료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동물성 유지는 도축장에…
우수한 동물자원이 사라진다 해도 체세포만 확보된다면 언제든지 완벽한 종복원이 가능한 기술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국내 동물복제 분야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농림수산식품부는 노령으로 도축된 제주흑우의 체세포를 이용한 흑우의 복원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이번 과제는 농림기술개발사업으…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한우고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농가에서 컴퓨터로 관리할 수 있는 한우농장 HACCP(위해요소 중점관리) 전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국 농업기술센터와 한우농가에 무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이번에 개발된 컴퓨터 관리 프로그램은 외부로부터 위해세균이 농장으로 유입…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돼지용 신종인플루엔자 백신(예방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신종인플루엔자는 2009년 5월 캐나다 양돈장에서 처음 확인된 이래 전 세계적으로 19개국에서 발생하여 이동제한 등으로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국내에서는 ‘09년도에 전국 양돈장을 대상으…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사일리지 생산자 실명 및 품질등급 표기로 생산자의 품질보증을 유도하고 소비자(축산농가)의 제품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는 현장형 사일리지 수분측정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조사료내 수분함량은 사일리지의 발효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유통…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농가의 편의에 맞게 연중 송아지생산 일정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배란동기화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이 기술을 소 사육 농가에서 적용할 경우 송아지 생산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농가가 원하는 달에 소를 분만시킬 수 있어 삶의 질 향상도 가능하…
항균효과가 알려져 있는 마늘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면 항균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가축보조사료로 활용시 축산물의 안전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항생제 저항성 유해균 억제를 위한 발효마늘 제조방법을 기술이전한다고 밝혔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은 마늘의 항균물…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올해 논에서의 총체 벼 재배 시범사업 4개지역을 대상으로 총체 벼 재배 및 이용에 대한 기술교육을 30일 충남 천안에 위치한 축산자원개발부에서 실시하고 재배에 필요한 전용 품종(2,320kg)을 보급한다. 지난해 쌀 재고량 증대에 따라 생산 조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에 다양…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산란계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열전구 대신 LED를 사용해 본 결과 에너지가 80% 정도 절감되고 생산성은 8%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농촌진흥청은 산란계에서 백열전구와 다양한 파장의 LED를 점등광원으로 이용하여 점등효과를 조사한 결과, 초기 산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