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염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지에서 출하되는 모든 제품에 태그(라벨)이 부착되고, 소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 시스템이 구축된다.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부터 천일염 이력관리 시스템구축 3년차 사업이 실시된다며, 모든 천일염 제품에는 위변조가 어려운 태그를 붙여 스마트폰으로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그동안 농식품부는 지난 2011년까지 사례조사와 사업설명회, 운영 실태조사 등을 거쳐 이력관리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제반 사업을 추진해 왔다.이에 따라 염전에서 염 검사 후 출하되는 모든 천일염에는 위변조가 어려운 태그를 통해,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생산지역과 생산자, 생산연도 등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다만 농식품부 관계자는 “천일염 이력제는 법적인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최근 수입산 소금의 국산 둔갑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천일염의 안전성 문제 발생시 신속한 역추적 조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업계에서는 이력관리시스템 도입으로 고품질의 국내산 천일염 유통과정에서 정품 확인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한편 농식품부는 대
아프리카의 콩고 츄엔게 지역과 탄자니아 모로고로 지역에 수자원개발과 교육시설 등의 생활환경개선과 영농기술전수 등 ‘한국형 농촌종합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한국농어촌공사(사장 박재순)에 따르면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콩고의 츄엔게 지역에 올해부터한국의 영농기술 전수와 주민 소득원 개발, 주민 역량강화를 위한 영농 등 기술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동아프리카인 탄자니아에는 취수시설과 관개수로 등 생산기반시설 정비와 학교와 영농센터 건설, 가축사육을 위한 맞춤형 축산시범사업이 착수됐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2011년 콩고 공무원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연수에서, 콩고 농업개발부 국장은 관광과 농업으로 소득을 올리는 한국 농촌에 대하여 매우 깊은 인상을 받은 적이 있다”며 “공사는 앞으로도 후진국의 농업기술개발로 생산성 향상과 기아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농어촌공사는 해외의 농업 농촌분야 사업에 대한 기술용역사업을 1972년부터 40년간 25개국, 105개 사업을 수행하면서 해외농업개발 경험을 축적한 바 있고, 현재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 총 11개국에서 15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오는 5월 31일까지 밭농업 직접지불제 신청접수를 받는다. 밭농업 직접지불제는 한미 FTA 발효로 인한 농어업분야의 피해를 보전해주는 사업으로 올해 처음 시행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밭농업 직접지불제 시행을 위한 올해 예산 624억원을 확보하고 지난 4월 30일부터 밭농업보조금 등록신청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대상 품목은 겉보리를 비롯해 쌀보리, 맥주보리, 밀, 호밀, 조, 수수, 옥수수, 메밀, 기타잡곡, 콩, 팥, 녹두, 기타두류, 사료작물(조사료), 참깨, 땅콩, 고추, 마늘 등 19개로, 지목이 전(田)인 농지에 농업인과 농업법인에게 1ha당 40만원씩 보조금을 지급한다. 지급 상한면적은 농업인은 4ha 농업법인은 10ha이며, 농업인의 경우 직불금이 대농에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급 상한을 쌀 고정직불금 지급면적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 이에 따라 농업인의 경우는 연간 최대 160만원, 농업법인은 최대 400만원까지 밭농업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밭농업보조금을 받고자 하는 농업인 등은 농지소재지 관할 읍면동사무소에 5월 31일까지 ‘밭농업직접지불보조금 등록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며 “제출된 등록신청서를 바탕으로
종자의 불법 유통을 단속하고 육종가의 품종보호권을 강화하기 위해 특별사법경찰이 나섰다.국립종자원(원장 배원길)은 지난 4월 19일 본청 대회의실에서 불법 · 불량종자로 인한 농업인과 신품종 육종가의 피해를 예방하고, 종자의 유통 및 품종보호권 위반행위를 단속할 특별사법경찰(특사경) 발대식을 개최했다.총 21명으로 구성된 특사경은 단속은 물론 수사권도 부여받아, 불법 행위 적발자에 대해서는 검찰에 사건을 송치할 수 있는 권한도 함께 위임받았다.이날 발대식에서 배원길 국립종자원장은 “다소 적은 인원으로 출발하지만 법질서 확립과 세계 5대 종자 강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특사경 여러분들의 막중한 책임과 실천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또한 배원장은 “친절하면서도 공명정대한 법질서 지킴이 역할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특히 육종가의 품종보호권을 강화해 나가는데 자부심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국립종자원의 특사경제도 도입은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우선 지난 2009년 1월 종자원이 특별사법경찰권 부여를 요청한 이래, 2010년 9월에야 법무부가 종자유통조사 담당공무원에 대한 특사경제도 도입을 결정했다.이어 ‘농림수산식품부 등 소속 공무원에게 종자산업법 관련 범죄에 대한 사